사회

'독도는 일본 땅' 외국인에게까지 세뇌... 서경덕 교수가 폭로한 일본의 치밀한 전략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최근 재개관한 일본 도쿄의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을 직접 방문한 후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강력한 대응과 독도 홍보 전략 재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해 주목받고 있다. 서 교수는 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시관 방문 경험과 함께 일본의 독도 도발 행위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2018년에 처음 개관한 이 전시관은 2020년 확장 이전했으며, 지난달 18일 체험시설을 포함한 대규모 리모델링을 마치고 재개관했다. 이 전시관은 독도뿐만 아니라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쿠릴열도 남단 4개 섬인 '북방영토' 등을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서 교수가 지적한 재개관 후 달라진 첫 번째 특징은 외국인 방문객을 위한 영문 안내서 '일본의 영토와 영해' 제공이다. 전시관 관계자에 따르면 재개관 이후 하루 평균 100명이 방문하고 있으며, 외국인 방문객 수도 크게 증가했다고 한다. 이는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을 자국민뿐 아니라 국제사회에도 적극적으로 홍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두 번째 주목할 변화는 전시 방식의 현대화다. 기존의 패널 위주 전시에서 벗어나 몰입형 시어터와 애니메이션 영상 시설을 대폭 도입했다. 서 교수는 "이러한 변화는 초중고 학생들의 견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며, "방문 당일에도 많은 어린 학생들이 전시관을 찾았다"고 전했다. 이는 일본이 어린 세대부터 독도가 자국 영토라는 인식을 심어주려는 장기적 전략으로 보인다.

 


세 번째 변화는 강치(바다사자)를 활용한 전시 강화다. 전시관 곳곳에는 강치 박제 전시물, 일본 어민이 '강치잡이'하는 애니메이션 장면, 강치 캐릭터 등이 배치되어 있다. 서 교수는 "이는 '과거 일본이 독도에서 어업을 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의도적 장치"라고 비판했다. 역사적으로 강치는 독도 주변에서 서식했으나, 일본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을 은폐하고 오히려 이를 영유권 주장의 근거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서 교수는 강한 유감을 표했다.

 

"정말이지 기가 막힐 따름"이라며 분노를 표현한 서 교수는 "일본 정부가 이 전시관을 통해 독도에 관한 거짓 역사와 정보로 자국민들에게 버젓이 세뇌 교육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장기적으로 일본 내 독도 인식에 미칠 영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서 교수는 이러한 일본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첫째,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한 단호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 차원의 외교적 항의와 함께 학계와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둘째,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전 세계 독도 홍보 강화다. 서 교수는 그동안 다양한 독도 홍보 활동을 펼쳐왔으며, 이번 일본의 전시관 재개관을 계기로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독도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한편, 외교부 관계자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어떠한 법적 근거도 없는 부당한 행위"라며 "정부는 일본의 도발적 행위에 대해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독도 연구 전문가들은 일본의 이러한 움직임이 최근 한일 관계 개선 흐름 속에서도 영토 문제에 있어서는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