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와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자산가격 상승 기대가 맞물리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현상이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특히 고가 주택을 중심으로 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대출 신청과 접수도 급증해 하반기까지 대출 열풍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6월 12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0조792억원으로, 5월 말(748조81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철강에도 관세를 부과하고, 현재 25%인 수입산 자동차 관세도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공식화하면서 국내 산업계가 큰 충격과 우려에 빠졌다. 이미 기존 관세로 인해 대미 수출이 크게 위축된 가운데, 추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국내 기업들의 대미 무역이 사실상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업계 전반에 퍼지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가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
홈플러스의 지배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이하 MBK)가 기업회생 절차와 관련해 중대한 입장을 내놓았다. MBK는 13일 발표한 공식 입장문을 통해, 홈플러스가 법원에 회생계획안 인가 전 인수합병(M&A) 절차를 추진할 경우 자신들이 보유한 약 2조 5000억 원 규모의 홈플러스 보통주 전량을 무상 소각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지분 100%에 해당하며, 경영권을 포함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는 조치다.
기업 회생절차에 들어간 지 100일이 지난 홈플러스가 본격적인 재건 움직임에 나섰다.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에 인수합병(M&A) 추진을 공식화하면서 새 주인을 찾기 위한 절차에 착수한다. 이에 따라 자산 매각, 부채 정리, 고용 안정 등 다방면의 조정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해관계자들의 촉각도 곤두서고 있다.11일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에 인수합병을 포함한 방안을 담아 내달 10일까지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